이제 막 취업하여 사회에 첫 발을 디딘 사회초년생, 먼거리에서 대학생활을 하는 대학생,
한번쯤 자취의 로망을 꿈꾸셨을겁니다. 자취를 하고 싶어 직방, 다방 등 어플을 통해 설레는 맘으로 원룸을 알아본 후,
너무 비싼 월세값에 금세 풀이 죽어 현실에 순응하기로 하신분들이 많으실겁니다!

이 때 알아보게 되는 것이 바로 전세자금대출입니다.
그중에서도 오늘 소개해드릴 내용은 주택도시기금에서 제공하는 버팀목전세자금대출입니다.
관련링크 : http://nhuf.molit.go.kr/FP/FP05/FP0502/FP05020101.jsp
주택도시기금
주택도시기금 소개, 주택구입(내집마련디딤돌 등), 전세자금, 월세대출, 국민주택채권, 주택청약, 신혼부부대출
nhuf.molit.go.kr
자세한 대출이 가능한 대상, 금리, 조건 등에 관한 세부적인 내용은 위 링크에서 자세하게 참고하실 수 있으며,
제가 오늘 주로 설명드릴 내용은 실제 제 경험을 바탕으로 대출을 받기부터 계약까지의 순서입니다.
가장 하단에는 꼭 챙겨야할 정보(꿀팁)을 기재해두었으니, 놓치지 마세요!
실제 버팀목전세자금대출 및 계약 절차
1. 은행상담
- 나의 조건 (저의 현 재직상태, 급여, 보유금액 등)으로 정상적으로 70%까지 대출이 가능할 것 안내받음
2. 전세집 알아보기
- 직방, 네이버부동산 등으로 가능 금액대를 살펴보고, 부동산에 전화 약속 후 직접 방문
- 직접 부동산 중개인 분의 차를 타고 2~3군데 비슷한 금액대로 나온 매물을 둘로보고, 계약하고 싶은 집을 결정
- 부동산에 요청해서 등기부등본을 떼보고 융자가 없음을 확인함.
3. 다시 은행방문
- 다음날 해당 집의 등기부등본을 떼가서 은행원에게 보여준 후, 대출가능한 집이라고 전달받음
4. 계약하기
- 부동산 중개업자를 통해 계약의사를 밝히고, 임대인과 당일 저녁 약속을 잡음
- 해당 부동산에 방문하여 계약서를 쓰면서 계약 체결
- 전입일자는 대출승인기간을 고려하여 계약일 2주후로 설정하였음.
5. 은행 방문
- 확정일자를 찍은 계약서(인터넷등기소를 통해 가능)를 들고 은행을 방문하여 대출 신청에 관한 각종 서류 작성 후,
전입일자에 맞춰 대출 실행 요청
- 전입일자에 대출금액 오전 10시에 보내준다는 약속을 받음
6. 전입신고
- 전입일자에 민원24를 통해 전입신고 완료
7. 서류 제출
- 전입신고 후, 은행에 주민등록등본 팩스로 제출

8. 기타 꼭 챙겨야할 정보(꿀팁)
- 융자가 없어야 안전하고, 대출도 잘 나와요..
매물이 너무 맘에 들더라도 융자가 있으면 재고해보시는게 좋을것 같아요. 안전이 최고입니다!!
- 부동산은 꼭 방문해서 여러 매물을 보고 비교해보는 게 좋아요.
허위매물도 너무 많고, 사진이랑 너무 많이 다릅니다ㅠㅠ
- 계약서 쓸때 특약사항을 잘 활용하세요. 문제될만한 사항은 특약사항에 기재해야 나중에 문제가 없습니다.
- 계약서 쓸때 계약자와 임대인 성명이 일치하는지 신분증 등을 통해 꼭 확인하세요.
임대신 대신 대리인(배우자 등)이 계약을 할 경우, 위임장과 인감증명서를 꼭 확인하세요.
없다고 하면 그냥 계약하지 마세요!!
- 무조건 안전이 최우선입니다!! 수많은 전세계약 사기 사례 등을 사전에 알아보시고, 계약하세요.
사기당한 후, 나중에 후회해도 늦어요ㅠㅠ
이상입니다. 다음에는 더 좋은 글로 찾아뵙겠습니다.
질문이 있으시면 댓글로 남겨주세요. 감사합니다.
'자취생활 꿀팁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자취 꿀팁] 버스, 지하철 교통비를 할인 받는 방법 3가지를 알아보자! (2) | 2019.12.15 |
---|---|
자취생이 자취방, 원룸을 고를 때 필수 확인 요소 3가지! (1) | 2019.12.15 |
자취하면 꼭 사야할 필수 아이템 4가지! (2) | 2019.12.14 |